본문 바로가기
아리송한 삶/드라마

왕이 된 남자 : 등장인물 소개 : 여진구 이세영 김상경 정혜영 : 미리보기로 알아본 줄거리

by 아리송한꿀 2019. 1. 3.
728x90

tvN 월화드라마 왕이 된 남자 : 등장인물 소개 : 여진구 이세영 김상경 정혜영 이규한 : 제작실록으로 알아본 줄거리

 

tvN 월화드라마 "왕이 된 남자"가 계룡선녀전 후속으로 다음주 1월7일 부터 방송됩니다. 왕의 된 남자는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와 같은 주제 인데요. 천만 관객이나 넘는 흥행한 영화를 드라마로 볼 수 있다니 벌써 부터 기대되는데요. 특히 1인 2역을 해야하는 여진구의 연기는 공개된 예고에서 이미 미친 존재감을 드러냅니다.

1월1일 방송 된 제작실록에서는 대한민국 1세대 크리에이터 "대도서관"이 MC를 맡아 주요인물을 맡은 배우들을 만나 인터뷰를 했는데요. 극중 왕"이헌" 과 광대 "하선" 역을 맡은 여진구는 하선이라는 역할에 애착이 간다고 말했는데요. 자신과 닮은 면도 있고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모습이라 그렇다고 합니다. 반면 왕 "이헌" 방송이 나가면 모든 분들이 욕을 할 정도로 악한 인물이라고 하는데요. 여진구가 표현하는 두사람을 기대해 봐야겠습니다.

중전 유소운역을 맡은 이세영은 왕 이헌에게 상처 받은 인물이라고 하는데요. 광대 하선과 이헌 사이에서 러브라인도 기대되는 부분인데요. 영화 광해:왕이 된 남자를 봐서 어느정도 줄거리는 예상이 되는데요. 하지만 영화 처럼 광해라고 정해진게 아니라 어떻게 보면 가상의 인물에 스토리만 가져왔다고 전했는데요. 드라마에서는 우리가 아는 전개가 아닌 듯합니다. 대도서관은 중전과 하선이 잘 됐으면 한다고 말했는데 저랑 같은 생각을 하는 것같습니다. 시청자 입장이라서 그런거겠죠? 이헌, 소운, 하선의 삼각관계의 결말은 방송을 통해서 확인가능하다고 합니다.

 

 

 

 

#기획의도

조선에서 가장 존귀한 자리가 임금이라면 가장 천한 자리는 광대였다.

8가지 천한 존재라 하여 사노비(私奴婢), 승려, 백정(白丁), 무당, 상여군(喪輿軍), 기생, 공장(工匠), 광대 등이 있었는데, 광대는 팔천 중에서도 가장 천하다 하여 짐승의 피를 봐야 하는 천한 백정조차도 광대와는 한 상에서 밥을 먹지 않았다 는 기록이 있다. 

 

그런 천한 광대가 존귀한 임금이 된다? 

반상의 법도가 준엄하고 귀천의 자리가 엄격했던 조선 시대에는 상상할 수도 없고 일어날 수 없는 일이었다. 임금은 그 피의 계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임금으로서의 자질과 교육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데 광대 따위가 흉내라고는 하나 감히 임금이 되다니! 그러나 그 상상 불가능한 일이 일어난다. 비천한 광대 하선이 존귀한 임금 이헌을 흉내 내다가 중전 소운을 사랑하게 되면서 진짜 임금이 되고, 소중한 사람과 나라를 지키기 위해 용상을 차지하려는 반정 세력과 살이 찢기고 피가 튀기는 전투를 벌이게 된다. 

 

그 과정에서 하선은 깨닫게 된다.

임금이란, 다 가진 것 같아도 제 사람 하나 온전히 가질 수 없는 외로운 자리란 것을. 용상을 지키기 위해 제 피와 살 같은 사람들도 도려내고 때로는 괴물이 되어야 하는 참혹한 자리란 것을. 진짜 임금은, 권력을 휘두르고 재물을 누리기 위한 자리가 아니라 백성을 위해 자신을 내려놓고 희생해야 하는 자리이고, 좋은 임금은, 백성을 웃게 하고 행복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광대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왕이 된 광대와 그 광대를 사랑하게 된 왕후, 그리고 두 사람이 만들어갈 새로운 나라를 위해 치욕을 감수하고 충심을 바치는 충신의 이야기... 

누군가는 가짜라 하지만 그들에게만은 진짜인 이야기... 

그 뜨겁고 치열한 이야기가 이제 시작된다.

 

#인물관계도

 

#등장인물 소개

 

 

 


 

#왕이 된 남자 포스터

왕이 된 남자의 연출은 김희원PD가 맡았는데요. 최근 "돈꽃"에서 부터 "화려한 유혹", "황금주머니", "멘도롱 또똣", "운명처럼 널 사랑해", "보고싶다" 등 MBC 프로듀서로서 인기 작품을 많이 했는데요. 지난 5월 퇴사후 tvN으로 이직을 한 듯합니다. 얼마전 끝난 백일의 낭군님도 사극으로서 성공을 거뒀는데요. "왕이 된 남자"도 사극인 만큼 백일의 낭군님 14.4%의 시청률을 뛰어 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출처:tvN 왕이 된 남자>